반응형
SMALL
서론
자바에는 모든 변수에 타입을 정의하고 있으며, 타입에 따라 담을 수 있는 값의 종류가 달라지게 됩니다. 알맞은 자료형에 값을 전달해야만 값을 저장 할 수 있습니다. 변수 타입은 크게 기본형과 참조형으로 나뉘게 됩니다.
기본형 타입
기본형 타입은 가장 기본이 되는 데이터 타입으로써 정수형, 실수형, 문자형, 불린형을 의미합니다.
- 논리형 : 크기가 1byte이고 true, false 중 한 가지 값을 가질 수 있다.
- 문자형 : char로 2byte크기를 가짐. 문자는 작은따옴표를 통해 한 글자를 표현할 수 있다.
- 정수형 : 정수를 표현하는 데이터 타입. int는 4byte이다. long형은 8byte의 크기를 가지고 int보다 큰 범위의 정수를 표현할 때 사용한다.
- 실수형 : float와 double이 있다. 각각 4byte, 8btye로 double은 float보다 큰 범위의 실수를 표현할 수 있다.
- 리터럴 : 소스코드의 고정된 값을 대표하는 용어. ture, flase, 100, a, 3.14 등 값 자체를 리터럴이라 한다.
기본형 타입의 사용 방법
- boolean isLogin = true;
- char lank = 'b';
- int num = 35;
- long big = 77665544L; (값을 적을 때 뒤에 소문자 l이나 대문자 L을 붙여야 함)
- float avg = 80.5f; (float에 값을 대입할 때 실수 뒤에 f나 F를 적어야 함.)
- double d = 55.55;
기본형 타입의 크기
분류 \ 크기(byte) | 1 | 2 | 3 | 4 |
논리형 | boolean | |||
문자형 | char | |||
정수형 | byte | short | int | long |
실수형 | float | double |
public class PrimitiveData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oolean isLogin = false;
char lank = 'f';
int age = 30;
long money = 10000000L;
float avg = 83.5f;
double dAvg = 99924.552;
}
}
반응형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생성자 오버로딩 with this (0) | 2023.01.29 |
---|---|
JAVA 웹 크롤링(Web crawling) (0) | 2021.04.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