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영체제

[OS] 운영체제 기본

by YoungJu 2022. 8. 10.
반응형
SMALL

운영체제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는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기억장치, 프로세스, 정보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집합입니다. 운영체제는 사용자와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일종으로, 다른 응용프로그램이 유용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합니다. 

운영체제 목적

  • 처리능력 향상
  • 사용 가능도 향상
  • 신뢰도 향상
  • 반환시간 단축
  • 비간섭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주된 목적은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관리하는 것입니다. 

운영체제 구조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CUI)
커널
하드웨어

운영체제는 필요한 부분을 전원이 켜지면 메모리에 올려놓고, 나머지는 필요할 때마다 메모리에 올리게 됩니다. 이때 항상 필요하여 메모리에 계속 남아있는 부분을 커널이라고 합니다.  이 커널을 좁은 의미에서의 운영체제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인터페이스와 커널을 합친 것이 운영체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운영체제 운용기법

  1. 일괄처리 시스템 : 초기 컴퓨터에서 사용하던 형태로, 일정 시간 모은 데이터를 한꺼번에 처리하는 방식.
  2.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Multi Programming System) : 하나의 작업이 입출력 중일 때 CPU에 다른 작업을 할당하여 CPU 사용률과 처리량을 향상 시키는 방식. 
  3. 시분할 시스템 : 여러 사용자가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사용자들의 요청을 번갈아가며 처리해 줌으로 인해 사용자들에게 독립된 컴퓨터를 사용하는 느낌을 주는 방식.
  4. 다중 처리 시스템 : 여러 CPU를 통해 동시에 작업을 처리 하는 방식 (병렬 처리 시스템)
  5. 실시간 처리 시스템 : 데이터 발생 즉시 처리하여 결과를 산출하는 방식.
  6. 다중 모드 시스템 : 일괄처리, 다중 프로그래밍, 시분할, 실시간 처리 시스템을 모두 사용하는 방식.
  7. 분산처리 시스템 : 독립된 여러 시스템들을 연결하여 작업을 분산하고 시스템의 자원을 공유하여 처리량과 응답 시간, 가용량을 극대화시키기는 방식.
반응형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 동기화(세마포어)  (0) 2022.08.16
[OS] 병행프로세스와 상호배제  (0) 2022.08.12
[OS] 교착상태(Deadlock)  (0) 2022.08.11

댓글